'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를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로 매수세가 관망세로 돌아서고 매도자들은 버티기에 들어갔으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도 호가를 낮춘 매물이 출시되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강남4구 아파트값은 0.12% 하락한 반면 강남4구 이외 지역은 보합세(0.00%)를 보이면서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강남4구와 이외 지역의 차별화 된 움직임은 9·13대책 이후 두드려졌다. 9·13 대책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11월(2주차) 이후 강남4구 아파트값은 0.63% 하락한 반면 강남4구 이외 지역은 0.36% 상승했다. 강남4구는 재건축 및 대출 규제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하락했지만 강남4구 이외 지역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들의 매수세로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하락하며 8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송파, 강동, 강남 등에서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이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0.18% 하락했다. 신도시 보합(0.00%), 경기·인천은 0.01% 하락했다. 서울은 송파(-0.19%), 강남(-0.10%), 강동(-0.08%), 서초(-0.07%), 성북(-0.01%), 양천(-0.01%) 순으로 하락했다.

송파는 잠실동 주공5단지가 1500만원, 리센츠가 2500만원 하락하는 등 지역 내 랜드마크 아파트 매매가격이 떨어졌다. 9·13 대책 이후 정부 규제와 인접한 헬리오시티 입주 영향으로 매도인들이 호가를 낮추고 있지만 매수세가 많지 않다. 강남도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1500만~6500만원, 일원동 상록수가 1000만원 하락했다. 매수 우위 분위기가 형성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강동은 둔촌주공이 500만~2500만원 떨어지며 9·13대책 이후 하락세가 계속됐다. 서초는 잠원동 신반포2차가 2500만~5000만원, 성북은 동소문동 동일하이빌이 1000만원 하락했다. 반면 금천(0.02%), 강서(0.02%)는 저가매물 위주로 간간히 거래되며 소폭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1%), 동탄(-0.01%)이 하락했다. 분당은 정자동 한솔LG가 500만~1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급등한 가격에 대한 피로감이 나타나면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동탄은 공급과잉 영향으로 청계동 시범예미지가 750만원 떨어졌다. 반면 일산(0.02%)은 GTX-A노선 착공 이후 주엽동 일대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르면서 소폭 상승했다. 주엽동 문촌16단지뉴삼익이 250만원 가량 상승했다. 이외 지역은 보합이다.

경기·인천은 광명(-0.15%), 의왕(-0.03%), 평택(-0.03%), 이천(-0.03%), 용인(-0.02%), 화성(-0.02%), 고양(-0.01%), 시흥(-0.01%), 안산(-0.01%) 순으로 하락했다. 2018년 분양시장 호황에 힘입어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광명은 9·13 대책 이후 매매가격이 하향 조정되며 하안동 주공 3,4,11,12단지가 300만~1250만원 떨어졌다. 의왕은 대단지 아파트인 내손동 포일자이가 500만원 하락했고 2018년 약 9000가구에 이어 올해 1만6700가구가 입주 예정인 평택은 안중읍 건영캐스빌이 500만원 떨어졌다. 반면 구리(0.05%), 김포(0.01%)는 소폭 상승했다. 구리는 토평동 토평상록이 1000만원, 김포는 사우동 현대가 500만원 상승했다.

전세는 서울이 0.03% 하락했고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각각 -0.07%, -0.06% 변동률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 하락폭이 컸다. 서울은 성북(-0.16%), 송파(-0.13%), 서대문(-0.09), 강동(-0.06%), 마포(-0.04%), 서초(-0.04%), 강서(-0.03%), 강남(-0.01%), 구로(-0.01%), 동작(-0.01%) 순으로 하락했다.

성북은 하월곡동 월곡두산위브가 1000만~1500만원 전셋값이 내렸다. 이사 비수기에 들면서 전세매물에 여유가 있다. 송파는 헬리오시티 입주 영향으로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이 1000만~2500만원 하락했다. 서대문은 북가좌동 북가좌삼호가 500만~1500만원 내렸다. 올해 1만가구 이상 신규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인 강동도 전셋값이 하락했다.

고덕동 배재현대가 2500만~3000만원 하락했다. 마포는 중동 현대1차가 500만원, 서초는 반포동 래미안반포퍼스티지와 반포힐스테이트가 각각 5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신도시는 동탄(-0.33%), 평촌(-0.13%), 분당(-0.05%), 광교(-0.02%), 일산(-0.01%), 중동(-0.01%) 순으로 하락했다. 동탄은 동탄2신도시 입주가 계속되면서 동탄1지구 아파트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석우동 예당마을우미린제일풍경채와 동탄예당마을푸르지오가 각각 500만원 떨어졌다. 평촌은 한파에 전세수요가 끊기면서 비산동 관악청구와 평촌동 초원성원이 500만~1000만원 하락했다. 분당은 서현동 효자삼환이 500만원, 광교는 이의동 래미안광교 전셋값이 500만~1000만원 하향 조정됐다. 경기·인천은 화성(-0.30%), 광명(-0.25%), 안산(-0.24%), 평택(-0.16%), 고양(-0.15%), 수원(-0.09%), 용인(-0.05%), 의정부(-0.05%)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연초 매서운 추위만큼이나 서울 아파트 시장도 냉랭한 기운이 감돌고 있다.

박원순 시장의 용산·여의도 통합개발 발표 이후 뜨겁게 달아올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은 9·13 대책 발표 이후 상승폭을 줄여 나갔고 새해 첫 시세 조사에서도 매매가격 변동률이 하락하며 8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서성권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대출 규제 강화와 보유세 강화 등 9·13 대책 효과가 2019년까지도 영향을 미치면서 당분간 가격하락과 더불어 매수자들의 관망세에 따른 거래절벽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